72
ko
11.
현행 의료 기법에 따라 장치를 환자의 기도에 고정해야 합니다
.
12.
분비물 제거를 위한 기도 관내강 흡인은 병원 절차를 따릅니다
.
13.
발관 전에 밸브 하우징에 주사기를 삽입하고 주사기에 일정한
양의 진공이 감지되고 길잡이풍선이 찌그러들 때까지 가스
혼합기를 제거하여 커프를 수축시킵니다
.
14.
현행 의료 기법에 따라 환자에게서 발관합니다
.
15.
기관내관을 폐기합니다
.
경고
•
각 튜브를 사용하기 전에 팽창시켜 커프, 길잡이풍선, 밸브를
테스트해야 합니다. 팽창 시스템의 어느 부분이라도 장애가 있을
경우 튜브를 사용하지 말고 반송해야 합니다
.
•
커프를 지나치게 부풀리지 마십시오. 보통의 경우 커프 압력은
25cmH
2
O
를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지나친 팽창은 기관 손상,
커프 파열에 따른 축소 또는 커프 변형을 일으켜 기도 차단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
튜브의 위치를 재조정하려면 커프에서 공기를 빼냅니다. 커프가
팽창된 상태에서 튜브를 이동하면 의료 조치가 필요할 수 있는
환자 상해 또는 커프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기도내 다양한 골질 해부학적 구조(예: 치아, 비갑개) 또는 예리한
부위가 있는 삽관 기구는 커프의 완전성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삽입하는 동안 박벽의 커프에 손상이 발생하면 환자에게 발관과
재삽관을 해야 하는 위험이 따릅니다. 커프가 손상되면 튜브를
사용하면 안 됩니다
.
•
삽관 후에도 튜브 위치가 올바른 상태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환자의 위치 또는 튜브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는
필수입니다. 잘못 위치한 튜브는 즉시 바로잡아야 합니다
.
•
삽관 후 머리의 지나친 굽힘(턱에서 가슴), 환자의 이동(예:
측와위 또는 복와위) 또는 튜브 압축이 예상될 경우, 강화 기관내
튜브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
•
주사기
, 3-way
스탑콕 또는 기타 장치를 팽창 밸브에 삽입된 채로
장시간 방치해서는 안 됩니다. 결과적인 응력이 밸브 하우징에
균열을 일으켜 커프에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습니다
.
• MRI
검사를 하는 동안 움직임 및 영상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관심
영역에서 최소
3cm
거리의 인공호흡기 회로
Y
자 커넥터 근처에
길잡이 풍선을 고정해야 합니다
.
주의
• Lidocaine
국소 분무제 사용이
PVC
커프의 바늘구멍 형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리도카인 염산염 용액은 이러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
•
아산화질소, 산소 또는 공기의 확산은 커프의 체적과 압력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한 확산의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커프의 외표면과 접촉할 가스 혼합기로 커프를 부풀리는
것이 좋습니다
.
•
커프 팽창을“감각”만으로 또는 측정된 일정량의 공기를
사용하는 것은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 커프내
압력은 압력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길잡이풍선은 커프의 압력 또는 진공 유무를 나타낼 뿐 압력 레벨
표시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
•
보관 시 높은 온도와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십시오
.
• 15mm
커넥터는 프리컷이 필요할 경우 힘을 가해 제거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습니다. 프리컷을 고려할 경우 권장 사용법에
따라 튜브와 커넥터의 적절성을 평가하십시오. 사용 중 분리를
방지하도록 항상 기관내 튜브와 호흡회로 모두에 커넥터가 단단히
밀착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
환기 또는 마취기구에 있는 일부 비표준 크기의 커넥터는 기관내
튜브
15mm
커넥터의 단단한 결합을 어렵게 할 수 있습니다. 표준
15mm
커넥터가 장착된 장치만 사용하십시오
.
•
삽입 전 장치를 윤활할 경우, 제조원의 지침을 따르십시오. 과잉
윤활제는 기관내 튜브의 내표면에서 말라붙어 윤활제 막힘 또는
투명 박막을 발생시켜 기도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을 수
있습니다
.
•
커넥터 재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윤활 젤리의 사용은 예기치
않은 커넥터 분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
참고
:
74
페이지에 나와 있는 성능 정보는 경식 실린더 기관 모델의
벤치 테스트를 통해 수집된 것입니다. 해당 벤치 테스트는 실험실
환경에서 기관내 튜브 커프의 밀봉 특징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된
것으로, 임상 환경에서의 성능 예측을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부작용
다음 부작용이 삽관 절차, 삽관 주기 동안 또는 발관 이후 커프형
기관내관 사용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기재 순서는 빈도
또는 경중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보고된 부작용: 모뿔연골 성대
찰과상; 연골 괴사; 반흔 형성; 환기 실패의 결과로 인한 사망; 연골막
손상; 전체 성문 부위를 침범하는 치밀 또는 광범위 섬유증 발육;
공기증; 기관지내 흡인; 기관지내 삽관(저산소혈증); 기관기관지
흡인; 비출혈; 식도 삽관(위 팽만); 인두막 찰상; 안구 외상; 섬유소
침착; 성문하 막양 형성; 경추 골절-탈구(척수 손상); 연골 분절; 성문
부종(성문상, 성문하 모뿔뒤); 내모뿔 부위의 육아종; 감염(후두염,
부비동염, 농양, 기도 감염); 염증; 간헐 발성불능증 및 재발성 인후염;
후두 섬유증; 후두 육아종 및 폴립; 후두 폐쇄; 후두 협착; 후두 궤양;
후두기관막 및 막양; 막성 성문 울혈; 막성 기관기관지염; 후두개의
경부종; 점막 부육 형성; 혀밑 및/또는 혀신경 불완전마비; 식도 천공;
기관 천공; 기흉; 기관벽의 반흔조직 대체; 호흡 폐쇄; 눈뒤출혈;
인두후농양; 인두후박리, 기관 파열; 인후염; 연하곤란; 콧구멍협착;
협착음; 성문하 환상 반흔성 협착증; 점막밑 출혈, 후두의 점막밑
천자; 표면상피 찰과상; 튜브 연하; 성대 유착; 치아 외상; 조직 화상;
기관 출혈; 기관 협착증; 입술, 혀, 인두, 코, 기관, 성문, 구개, 편도
등의 외상; 후두 및 기관의 외상성 병변; 연골고리가 드러나는 궤양화
및 커프 부위의 경증 진무름; 입술, 입, 인두의 궤양화; 모뿔 궤양;
성대 울혈; 성대 마비 및 성대 궤양화.
Содержание Shiley 18710
Страница 2: ...2...
Страница 37: ...37 ru 9 10 11 12 13 14 15 25 H2O Y 3 15 15 15...
Страница 38: ...38 ru 74 www covidien com Covidien Covidien Covidien...
Страница 40: ...40 zh 25 cmH2O Y 3 PVC 15 15 15 74 RigidCylinder Trachea Model www covidien com Covidien Covidien Covidien...
Страница 57: ...57 el 9 10 11 12 13 14 15 25 cmH2O MRI Y 3 cm PVC 15 mm 15 mm 15 mm...
Страница 58: ...58 el 74 www covidien com Covidien Covidien Covidien...
Страница 63: ...63 ar 10 11 12 13 14 15 25 3 Y PVC 15 15 15 74...
Страница 66: ...66 bg 9 10 11 12 13 14 15 25 cmH2O Y 3 cm PVC 15 15 15...
Страница 67: ...67 bg 74 www covidien com Covidien Covidien Covidien...
Страница 72: ...72 ko 11 12 13 14 15 25cmH2O 3 way MRI 3cm Y Lidocaine PVC 15mm 15mm 15mm 74...
Страница 73: ...73 ko www covidien com Covidien Covidien Covidi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