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stool 575622 Instructions Manual Download Page 9](http://html1.mh-extra.com/html/festool/575622/575622_instructions-manual_2284958009.webp)
9
한국어
치에 닿아 있거나 전동 공구가 켜진 상태에서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하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d� 전동 공구를 켜려면 먼저 조정 도구 또는 렌치
를 분리하십시오� 전동 공구의 회전부에 다른
도구나 렌치가 있으면 부상이 발생할 수 있습
니다�
e� 불안정한 자세로 작업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
오� 항상 안정적으로 선 자세에서 평형을 유지
하십시오� 자세가 안정적이면 예상치 못한 상
황에서도 전동 공구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습니다�
f� 작업에 적합한 보호복을 착용하십시오� 너무
헐렁한 복장이나 장신구를 착용해서는 안 됩니
다� 작동부에 머리카락 또는 옷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헐렁한 옷, 장신구 또는 긴 머리
카락은 회전 부분에 말려 들어갈 수 있습니다�
g� 집진기 및 분진 수거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경
우, 올바르게 연결한 후 사용해야 합니다� 집진
기를 사용하면 분진에 의한 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h� 안전 수칙을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전동 공
구를 여러 번 사용해서 잘 알고 있는 경우에
도 반드시 안전 사용 규칙을 따르시기 바랍니
다� 한순간의 부주의가 심각한 상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전동 공구의 사용 및 작동 방법
a� 전동 공구를 과부하 상태로 사용하지 마십시
오� 원래의 작업 용도로만 전동 공구를 사용하
십시오� 호환이 가능한 전동 공구를 사용하면
작업 효율이 향상되며 지정된 전원 범위에서
더욱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b� 스위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전동 공구는 사
용하지 마십시오� 정상적으로 켜거나 끌 수 없
는 전동 공구는 위험하므로 수리해야 합니다�
c� 기기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공구 비트를 교체
하거나, 전동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옆에 내려
놓으려면 먼저 소켓에서 플러그를 뽑으십시오�
배터리가 탈착식이면 배터리를 분리하십시오�
이와 같이 조치하면 전동 공구가 갑자기 작동
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d� 사용하지 않는 전동 공구는 어린이의 손이 닿
지 않는 곳에 보관하십시오� 공구 사용에 익숙
하지 않거나 본 설명서를 숙지하지 않은 사람
이 전동 공구를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하십시
오� 사용 경험이 없는 작업자가 전동 공구를 사
용하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 전동 공구와 공구 비트를 주의해서 관리하십
시오� 작동부가 제대로 작동하고 걸리지 않는
지 확인하십시오� 손상되거나 심하게 파손된
부분이 전동 공구의 작동을 방해하고 있지 않
은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파손된 부분이 있으
면 전동 공구를 사용하기 전에 수리하십시오�
관리가 미흡한 전동 공구에서 많은 사고가 발
생하고 있습니다�
f� 컷팅 공구의 날은 날카롭고 청결한 상태로 유
지하십시오� 컷팅날을 날카롭게 유지하고 잘
관리하면 걸림 현상이 줄어들고 공구를 더욱
쉽게 조작할 수 있습니다�
g� 본 수칙에 따라 전동 공구와 공구 비트 등을 사
용하십시오� 작업 조건이 처리할 작업에 적합
한지 확인하십시오� 전동 공구를 정해진 용도
가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하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h� 손잡이와 손잡이면은 건조한 상태로 청결하게
유지하고, 오일 및 그리스가 남아 있지 않게 하
십시오� 손잡이와 그립면이 미끄러우면 미끄러
우면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전동 공구를 안전
하게 조작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5 서비스
a� 공인된 전문가에게 전동 공구의 수리를 의뢰
하고 정식 부품을 사용하십시오� 이와 같이 관
리해야 전동 공구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
니다�
b� 수리 및 유지보수 작업 시에는 정품만 사용하
십시오� 호환이 되지 않는 액세서리 또는 부품
을 사용하면 감전 등의 상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2
테이블 쏘 관련 안전 수칙
가드 관련 경고
c.
가드를 제자리에 두십시오
.
가드는 작업 위치에
있거나 혹은 제대로 장착되어 있어야 합니다
.
느슨하거나 파손되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가드는 수리하거나 교체해야 합니다
.
d.
절단 작업을 진행할 때마다 항상 톱날 가드 및
라이빙 나이프를 사용하십시오
.
톱날이 부재
두께를 관통하여 절단이 이루어지는 분리 절
단을 진행할 때 가드 및 다른 안전 장치를 이용
해야 부상의 위험이 줄어듭니다
.
e� (반턱 가공, 홈파기 또는 톱 절단 재작업 등) 가
드 그리고/또는 라이빙 나이프를 제거해야 하
는 작업을 마치면 가드 시스템을 즉시 재부착
하십시오� 가드
,
라이빙 나이프 및 킥백 방지
장치를 이용하면 부상의 위험이 줄어듭니다
.
f.
전동 공구의 전원을 켜기 전에 톱날이 가드,
라이빙 나이프 또는 가공물에 닿지 않는지 확인
Summary of Contents for 575622
Page 2: ...2 6 2 5 2 4 2 3 2 2 2 1 1 2 1 7 1 8 1 9 1 10 1 13 1 11 1 12 1 1 1 2 1 3 1 4 1 5 1 6 1 13 2x...
Page 3: ...3 4 3 3 3 2 3 1 3 5 3 6 3 7 3 8 4 7 4 6 4 2 4 1 4 5 4 4 4 3 3 4...
Page 6: ...1 2 3 1 2 13 14 15...
Page 9: ...9 d e f g h 4 a b c d e f g h 5 a b 5 2 c d e f...
Page 10: ...10 g h i a b c d 150 mm 50 mm e f g h i j k l 2 mm a...
Page 11: ...11 b c d e f g h i j k a b c d e f g h i j...
Page 12: ...12 6 2b Festool 5 3 EN847 1 225 mm 2 5 mm 30 mm 2 2 mm 4200 rpm HSS 2 2 mm EN 60335 2 69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