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stool 575622 Instructions Manual Download Page 11](http://html1.mh-extra.com/html/festool/575622/575622_instructions-manual_2284958011.webp)
11
한국어
속도로 톱날과 일직선상에 위치한 작업자를
향해 날라갈 수 있습니다
.
b.
가공물을 빼내거나 받치기 위해 톱날 위쪽이나
뒤쪽을 잡는 일이 절대 없도록 하십시오�
돌발
적으로 톱날에 닿거나 킥백이 발생하여 톱날
안으로 손가락이 말릴 수 있습니다
.
c.
절단 작업 중인 가공물은 절대 톱날이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잡거나 누르지 마십시오�
절단
작업 중인 가공물을 톱날 반대 방향으로 누르
면 걸리거나 킥백이 발생합니다
.
d.
펜스는 톱날과 나란하게 정렬하십시오�
펜스를
정렬하지 않으면 가공물이 톱날 반대쪽으로
걸려 킥백이 발생합니다
.
e� (반턱 가공, 홈파기 또는 톱 절단 재작업 등)
가려진 곳에서 작업할 경우 스러스트 칼라를
사용하여 가공물을 테이블과 스톱 레일 반대쪽
으로 이동시키십시오�
스러스트 칼라를 이용하
면 킥백 발생 시 가공물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
f.
결합된 곳이 눈에 보이지 않는 가공물을 쏘잉
작업할 때에는 특히 신경 써서 작업하십시오�
돌출한 톱날이 물체와 부딪히면서 킥백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
g.
톱날 조임 및 킥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큰 판넬
에 지지대를 설치하십시오�
대형 판넬은 자체
중량 때문에 아래로 처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지지대는 테이블 상단에 걸쳐져 있는 판넬
전체의 아래에 위치해야 합니다
.
h.
비틀리거나, 얽혀 있거나, 변형된 가공물 또는
엣지가 곧지 않아 마이터 컷 스토퍼를 이용하
거나 펜스를 따라 이동시켜야 하는 가공물을
절단할 때에는 특히 조심스럽게 작업하십시오�
비틀리거나
,
얽혀 있거나
,
변형된 가공물은
불안정하여 톱날로 켠 자국이 잘못되거나
톱날이 걸리고 킥백이 발생합니다
.
i.
절대 위아래 또는 앞뒤에 여러 겹으로 쌓여 있는
가공물을 절단하지 마십시오�
톱날의 일부가
걸려 킥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j.
가공물에서 톱을 다시 작동시킬 때는 켠 자국의
중심에 톱날을 배치하여 톱니가 가공물 안에
들어가지 않게 하십시오�
톱날이 끼여 있으면
,
톱 작업을 다시 시작할 때 가공물이 들어 올려
져 반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k� 톱날은 날카롭고 청결하며 충분히 비스듬한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변형된 톱날이나 금이 간
톱날 또는 톱니가 파손된 톱날은 절대 사용
하지 마십시오� 예리하고 적당히 경사를 이루고
있는 톱날은 톱날 걸림
,
고착 및 킥백을 최소
화시켜 줍니다
.
테이블 쏘 작동 과정 경고
a� 테이블 인서트를 제거하거나 톱날을 교체하고
라이빙 나이프 또는 톱날 가드를 조정하기 전에,
그리고 공구가 돌발적으로 작동한 경우 테이
블 쏘의 전원을 끄고 전원에서 분리하십시오�
예방 조치를 통해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
b.
테이블 쏘가 무감독 상태로 작동되지 않게
하십시오� 공구의 전원을 끄고 공구가 작동을
멈추기 전까지 절대 자리를 떠나지 마십시오�
톱이 돌발적으로 작동하면 무감독 상태에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c.
평평하고 조명이 잘 드는 곳, 안전한 자세로
무게 중심을 잘 유지할 수 있는 곳에 테이블
쏘를 설치하십시오� 설치 장소의 공간이 충분
히 넓어야 가공물을 온전하게 취급할 수 있습
니다�
정리정돈 상태가 불량하거나 조명이
어두운 작업장 및 평평하지 않고 미끄러운
바닥에서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d.
톱 테이블 그리고/또는 집진기에 있는 톱밥을
정기적으로 비우고 제거해주십시오�
수거된
톱밥은 가연성이라 자발적으로 발화할 수 있습
니다
.
e.
테이블 쏘를 잠금 처리하십시오� 테이블 쏘가
제대로 잠기지 않으면 스스로 움직이거나 뒤집
어질 수 있습니다
.
f.
테이블 쏘 전원을 켜기 전에 테이블에서 공구,
목재 잔여물 등을 제거하십시오�
방향이 바뀌
거나 고착되어 위험할 수 있습니다
.
g.
축공에 맞춰 크기와 모양(다이아몬드형 또는
원형)이 올바른 톱날을 사용하십시오�
톱의
장착부에 맞지 않는 톱날을 사용하면 톱날이
작업 중심에서 벗어나면서 공구를 제어할 수
없게 됩니다
.
h� 손상되거나 잘못된 톱날 장착품(예: 플랜지,
톱날 와셔, 볼트 또는 너트)은 절대 사용하지
마십시오�
이 톱날 장착품은 안전한 작동 및
성능 최적화를 위해 해당 톱 전용으로 설계되
었습니다
.
i.
절대 테이블 쏘 위에 올라서지 말고 테이블
쏘를 발판으로 사용하는 일이 없도록 하십시오�
공구가 뒤집어지거나 뜻하지 않게 톱날에 닿아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j� 톱날의 회전 방향에 맞게 장착되었는지 확인
하십시오� 테이블 쏘에 절단석, 와이어 브러시
또는 연마석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톱날을
제대로 장착하지 않거나 권장하지 않는 액세
서리를 사용하면 심각한 부상을 유발할 수 있습
니다
.
Summary of Contents for 575622
Page 2: ...2 6 2 5 2 4 2 3 2 2 2 1 1 2 1 7 1 8 1 9 1 10 1 13 1 11 1 12 1 1 1 2 1 3 1 4 1 5 1 6 1 13 2x...
Page 3: ...3 4 3 3 3 2 3 1 3 5 3 6 3 7 3 8 4 7 4 6 4 2 4 1 4 5 4 4 4 3 3 4...
Page 6: ...1 2 3 1 2 13 14 15...
Page 9: ...9 d e f g h 4 a b c d e f g h 5 a b 5 2 c d e f...
Page 10: ...10 g h i a b c d 150 mm 50 mm e f g h i j k l 2 mm a...
Page 11: ...11 b c d e f g h i j k a b c d e f g h i j...
Page 12: ...12 6 2b Festool 5 3 EN847 1 225 mm 2 5 mm 30 mm 2 2 mm 4200 rpm HSS 2 2 mm EN 60335 2 69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