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stool 575788 Original Instructions Manual Download Page 9](http://html1.mh-extra.com/html/festool/575788/575788_original-instructions-manual_2284960009.webp)
폭이 넓은 가공물은 톱 테이블 가장자리가
기울어져 제어력을 잃고 톱날이 끼이거나 킥
백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가공물은 균일하게 이동시키십시오. 가공물
을 구부리거나 비틀지 마십시오. 톱날이 걸
리면, 공구를 즉시 끄고 전원 플러그를 뽑은
후 톱날이 걸린 원인을 제거하십시오.
가공
물에 의해 톱날이 걸린 견우 킥백이 발생하
거나 모터 작동이 차단될 수 있습니다.
–
톱날이 아직 작동 중일 때 작업한 소재를 제
거하지 마십시오.
작업한 소재가 톱날과 스
톱 레일 사이 또는 보호 덮개에 박혀 있어 제
거할 때 손가락이 톱날에 말려 들어갈 수 있
습니다. 소재를 제거하기 전에 톱의 전원을
끄고 톱날이 정지할 때까지 기다리십시오.
–
두께가 2 mm 미만인 가공물에 립 컷 작업을
하려면 테이블 표면에 닿아 있는 보조 립 펜
스를 사용하십시오.
두께가 얇은 가공물은
립 펜스 아래에 박혀 킥백을 유발할 수 있습
니다.
3) 킥백 - 발생 원인과 해당 안전 지침
킥백 현상은 톱날이 걸리거나 끼이거나 가공물에
비스듬하게 놓이거나 또는 가공물의 일부가 톱날
과 립 펜스 또는 고정된 다른 물체 사이에 끼었을
때 톱이 갑자기 반동하는 현상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킥백이 발생하면 톱날의 뒷부분이
가공물에서 벗어나 톱 테이블에서 들리고 작업자
를 향하게 됩니다.
테이블 쏘를 잘못 사용하면 킥백이 발생할 수 있
으며, 아래의 방법을 통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어떠한 경우에도 톱날과 일직선 상에 있지
마십시오. 톱날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자리
를 잡으십시오. 각 측면에 스톱 레일이 위치
해 있기도 합니다.
킥백이 발생하면 가공물
이 빠른 속도로 톱날과 일직선상에 위치한
작업자를 향해 날라갈 수 있습니다.
–
가공물을 빼내거나 받치기 위해 톱날 위쪽이
나 뒤쪽을 잡는 일이 절대 없도록 하십시오.
실수로 톱날에 닿거나 킥백이 발생하면 손가
락이 톱날에 말려 들어갈 수 있습니다.
–
절단 작업 중인 가공물은 절대 톱날이 회전
하는 반대 방향으로 잡거나 누르지 마십시
오.
절단 작업 중인 가공물을 톱날 반대 방향
으로 누르면 걸리거나 킥백이 발생합니다.
–
스톱 레일은 톱날과 나란하게 정렬하십시오.
스톱 레일을 정렬하지 않으면 가공물이 톱날
반대쪽으로 눌려 킥백이 발생합니다.
–
가려진 곳에서 작업(예: 리베이트, 홈파기 또
는 가로 홈 작업 또는 자재 취급 시 분리 작
업)할 경우 스러스트 칼라를 사용하여 가공
물을 테이블과 스톱 레일 반대쪽으로 이동시
키십시오.
스러스트 칼라를 이용하여 킥백
발생 시 가공물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
결합된 곳이 눈에 보이지 않는 가공물을 톱
작업할 때에는 특히 신경 써서 작업하십시
오.
플런지 컷 톱날이 킥백을 유발할 수 있는
물체를 절단할 수 있습니다.
–
톱날 걸림으로 인해 킥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큰 패널에 지지대를 설치하십시오.
대형 패
널은 자체 중량 때문에 아래로 처지는 경향
이 있습니다. 테이블 표면을 벗어난 패널 곳
곳에 지지대를 설치하십시오.
–
비틀리거나, 얽혀 있거나, 변형된 가공물 또
는 엣지가 곧지 않아 마이터 컷 스토퍼를 이
용하거나 스톱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야 하는
가공물을 절단할 때에는 특히 조심스럽게 작
업하십시오.
비틀리거나, 얽혀 있거나, 변형
된 가공물은 불안정하여 톱날로 켠 자국이
잘못되거나 톱날이 걸리고 킥백이 발생합니
다.
–
절대 위아래 또는 앞뒤에 여러 겹으로 쌓여
있는 가공물을 절단하지 마십시오.
톱날의
일부가 걸려 킥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톱날이 가공물에 끼인 톱으로 다시 작업하고
자 하는 경우, 톱 간극에 있는 톱날의 중심을
맞춰 톱니가 가공물에 끼어 있지 않게 하십
시오.
톱날이 끼여 있으면, 톱 작업을 다시 시
작할 때 가공물이 들어 올려져 킥백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
톱날은 날카롭고 청결하며 충분히 비스듬한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변형된 톱날이나 금이
간 톱날 또는 톱니가 파손된 톱날은 절대 사
용하지 마십시오.
예리하고 적당히 경사를
이루고 있는 톱날은 톱날 걸림, 고착 및 킥백
을 최소화시켜 줍니다.
4) 테이블 쏘 작동 관련 안전 지침
–
테이블 인서트 제거, 톱날 교체, 스페이서 웨
지 또는 톱날 보호 덮개 조절을 하기 전에 그
리고 공구를 무감독 상태로 둘 경우에는 테
이블 쏘의 전원을 끄고 전원부를 분리하십시
오.
예방 조치를 통해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
다.
–
테이블 쏘가 돌발적으로 작동되는 일이 없게
하십시오. 공구의 전원을 끄고 공구가 작동
을 멈추기 전까지 절대 자리를 떠나지 마십
시오.
톱이 돌발적으로 작동하면 무감독 상
태에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평평하고 조명이 잘 드는 곳, 안전한 자세로
무게 중심을 잘 유지할 수 있는 곳에 테이블
쏘를 설치하십시오. 설치 장소의 공간이 충
분히 넓어야 가공물을 온전하게 취급할 수
있습니다.
정리정돈 상태가 불량하거나 조명
이 어두운 작업장 및 평평하지 않고 미끄러
운 바닥에서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톱 테이블 그리고/또는 집진기에 있는 거스
러미 및 톱밥을 정기적으로 제거해주십시오.
수거된 톱밥은 가연성이라 자발적으로 발화
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
10